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움직임 "미국의 전세계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1990년 37% 대비 2021년 현재 12% 수준으로 감소했다. 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으면 제조업 전반에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위 내용은 미국 정부가 반도체·배터리·의약품·원자재 등 주요 산업 공급망 현황 및 육성계획을 정리해 지난달 내놓은 '공급망 100일 검토 보고서' 내용이라고 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반도체 디자인(설계)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제작과 조립·소재·장비 분야에선 지정학적 의존도가 높다고 분석됐는데, 이는 부가가치 극대화를 위한 효율성에 집중한 미국 기업이 생산을 멀리하면서 미국의 제조업 산업 기반이 침체됐다는 분석입니다. 이런 분석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의 반도체 제조업 부흥을 위해 움직이기 .. 2021. 7. 22.
1분 경제 _ 스마트폰 OLED 사상 최대 출하 스마트폰 OLED가 최근 수요 증가에 힘 입어 높은 출하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OLED 시장의 현황과 중국 기업들의 추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마트폰 OLED 시장 전망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올해 중소형 OLED 출하량은 5억8450만대로, 지난해 4억5660만대와 비교해 2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수요 증가 요인으로는 코로나19의 보복 소비 효과, 프리미엄 제품 수요 확대, 폼팩터 혁신 등이 있는데, 특히 상위(플래그십) 라인업 뿐만 나이라 중급(미드엔드) 라인업까지 OLED 채용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OLED 시장의 확대가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 스마트폰 OLED 시장점유율 스마트폰 OLED는 중소형 OLED로 과거부터 삼성디스플레이가 90%이상의 점유율을.. 2021. 7. 2.
1분 경제 _ 일본 히트상품으로 본 소비시장 트렌드 일본 닛케이 신문은 50년 전 창간 때부터 일본에서 히트한 상품에 대한 순위 매기기를 계속해왔다고 합니다. 매년 상하반기 기간에 인기를 끌었던 제품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일본의 소비 시장 트렌드를 통해 앞으로 국내에서도 히트할 수 있는 소비제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일본의 미래 쇼핑 트렌드 2021년 상반기 히트한 상품과 소비 문화의 트렌드를 살펴보면 몇가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2. 디지털화, 3. 경계를 허무는 제품, 4. 만족감에 중점을 둔 소비 등입니다. #2 지속 가능한 소비 첫 번째로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소비란 탄소 배출 감축과 더불어 환경을 생각하는 책임감 있는 제품에 대한 소비 증진을 말합니다. 즉, 라벨이 없는 코카콜라 용기, 재활용 .. 2021. 7. 1.
1분 경제 _ 자가격리 없는 여행 가능, 분주해진 여행업계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산업은 다름아닌 여행업계일 것입니다. 최근 본격적인 여행길이 열릴 수 있다는 기대감과 실제 협정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관련한 여행 업계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1 해외 여행 가능성 국내 여행 업계는 최근 해외 여행 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 여행안전권역) 시행 합의문에 의해 국토교통부가 자가격리 없는 해외여행 가능 지역을 설정하기로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2 트래블 버블 협정 체결 지난 30일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된 상태라 위험하긴 하지만 정부는 예정대로 미국령인 사이판과 트래블 버블 합의문 서명식을 가졌습니다. 트래블버블이란 여행 안정 권역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방역 관리가 잘된 .. 2021.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