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 포스팅 했던 현대차와 애플카 관련 업데이트 내용을 전달드리겠습니다.
많은 사람분들이 처음 현대차에 애플이 협업을 제안했다고 했을 때, 당연히 해야하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셨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왜 현대차는 애플의 제안을 고민하는 걸까요?

현대차는 한국경제TV의 보도 이후 한겨례를 통해 ”관련 부서 등에 확인한 결과, 현대차가 애플카 개발·생산 참여에 ‘정의선 회장의 재가만 남았다’는 등의 보도는 근거가 없는 얘기”라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관계자는 이어 ”애플이 현대차를 포함해 여러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과 관련 협의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덧붙였는데요, 사실 애플의 타이탄 프로젝트의 실질적 실패 이후 소프트웨어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하드웨어 부분은 협업을 통해 진행하려는 것 같습니다.
애플카 관련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 보시면 더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애플은 2027년 완전주행 자동차인 애플카를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실제 현대 외에도 여러 자동차 업체들에게 제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애플이 본격적으로 제조 기반의 기술력을 가진 회사들에게 제안을 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사실 애플은 과거에 독일의 폭스바겐이나 BMW와 협업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애플의 제안은 BMW 입장에서도 좋은 제안이었지만, 둘 사이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건 바로 자율주행차를 타면서 나오는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였습니다. 해당 데이터를 누가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애플에 문의하자 애플은 당연히 우리가 관리한다고 대응한 것인데요. 이렇게 되면 BMW는 단순 기계만 납품하는 납품업체로 전락하기 때문에 애플의 제안을 거절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애플과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업에 매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데요, 자동차 업계에서는 애플이 아이폰을 대만 폭스콘에 위탁 생산하듯이 애플카를 완성차 업체에 하도급 역할로 제안한 것 아니냐는 시선이 강하게 있고, 현대차 역시 그런 이유에서 애플의 제안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입니다.
물론 애플의 선택지에 현대차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완성차 생산 능력과 전기차 개발 역량, 브랜드 이미지를 고려하면 현대차 외에도 GM이 유력한 파트너사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애플이 어느 업체와 손을 잡느냐에 따라 글로벌 전기차의 판도가 완전히 달라질 것으로 보이는데, 거론되는 업체들은 한결같이 애플과 협업 관련해서 함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마그마와 함께 조인트 벤처를 설립한 LG 역시 애플의 협력 파트너로 거론되고는 있지만, 확실한 답변은 없는 상태입니다.
결국 앞서 말씀드렸듯이 완성차 기업들은 애플의 단순 하청은 원하지 않고, 자체적인 전기차 생산능력과 자율주행 관련 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은 짝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완성차 업계는 이미 자율주행 기술력을 많이 확보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애플의 제안은 매력적이지만, 손을 덥석 잡을 수는 없는 이유죠.
또한 애플이 생산하는 애플카가 규모의 경제를 갖춘 대량 생산까지 갈 수 있을지도 미지수입니다. 과거 애플TV가 마니아나 수집가들에게 판매하는 정도만 생산하고 말았었는데, 그럴 위험도 있다는 것이죠. 한 부분 관계자는 “애플이 주문한 초도 물량은 1000대 미만이고 향후 계획은 밝히지 않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 GM은 앞선 기술을 자랑하고 있고, 현대차그룹은 미국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오로라(Aurora)와 협업을 통해 2021년까지 레벨4 수준 자율주행차를 상용화 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해 자체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시장조사 업체 내비건트 리서치(Navigant Research)가 자율주행 리포트(Leaderboard Report:Automated Driving)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앞선 기술을 갖는 업체는 미국의 GM이며, 꼴찌 역시 미국의 테슬라가 선정됐다고 합니다. GM은 이미 자율주행차를 넘어 무인차 개념에 해당하는 크루즈 AV 컨셉카를 공개했고, 실제 양산 준비도 마칠 정도로 빠르게 양산화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이 차는 스티어링과 페달 자체가 없어 사람은 탑승만 하면 되는 무인 시스템입니다.

현대차 역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상용화하기 위해 미국 자율주행업체 `오로라(Aurora Innovation)`에 전략 투자를 단행한 만큼 독자적인 자율주행 구축에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기아의 파트너인 오로라는 2017년 미국에서 설립된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부문의 혁신 기업으로 뽑히는 기업입니다. 구글의 자율주행 기술 총책임자였던 크리스 엄슨,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총괄 스털링 앤더슨 등 자율주행 관련 기술 전문가들이 의기투합한 회사이기 때문에 관련 분야의 성과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현대차의 수소전지차 넥쏘를 활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공동 연구하고 있는데, 오로라가 가진 독보적 자율주행 시스템인 `오로라 드라이버`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인지·판단 영역을 고도화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독자적인 OS 구축도 고민이 되는 문제입니다. 통합 운영체제(OS)미래 전기차의 두뇌 역할을 하는 통합 운영체제입니다. 현대차는 미래차 대전에서 테크 기업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자체적인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러한 개발을 통해서 자율주행차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래 먹거리 분야에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애플은 과거 PC부터 자신들의 OS를 배타적이고 독립적으로 사용하기로 유명합니다. 현대차가 애플카를 애플과 함께 제작하게 된다면 애플은 자신들의 OS를 넣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콘텐츠까지 노릴 가능성이 큽니다. 이렇게 되면 현대차는 자체 OS 개발의 동력을 잃게되고, 그럴수록 미래 경쟁에서도 밀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현대차의 입장에서는 많은 고민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향후 관련되어 업데이트 소식이 있으면 또 전달드리겠습니다.

2021/01/08 - [주식 정보] - 현대차, 애플과 애플카 공동 개발 추진
현대차, 애플과 애플카 공동 개발 추진
시장에 변화를 주는 주요 기사를 전달드리겠습니다. 오늘은 현대차의 급등 이유에 대한 주요 기사입니다. 제가 포스팅 하기도 했던 미래카 중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애플카를 현대차가 공동개
info-maker.tistory.com
2020/12/25 - [시사 이슈] - 애플, 2024년 애플카 관련 내용 총정리
애플, 2024년 애플카 관련 내용 총정리
애플이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인 애플카에 대한 구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의 애플카의 출시 시기는 언제인지, 어떤 모습일지 어떤 비전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info-maker.tistory.com
2021/01/06 - [주식 정보] - 삼성디스플레이 30K 수준 대규모 라인 증설
삼성디스플레이 30K 수준 대규모 라인 증설
삼성디스플레이가 대규로 라인 증설을 추진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6일 한 언론을 통해 "삼성디스플레이가 3년 만에 라인 증설을 내부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안다."고 전
info-maker.tistory.com
2021/01/15 - [시사 이슈] - 엔비디아-ARM 인수 의미와 위기
엔비디아-ARM 인수 의미와 위기
작년 엔비디아는 영국의 반도체 설계회사 ARM을 인수하여 업계에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해당 인수가 정면 중단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관련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작년 9월 13일(현지 시
info-maker.tistory.com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반도체 슈퍼사이클 가속도 (0) | 2021.06.18 |
---|---|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띄우는 이유 (0) | 2021.04.27 |
엔비디아-ARM 인수 의미와 위기 (0) | 2021.01.15 |
현대차, 애플과 애플카 공동 개발 추진 (0) | 2021.01.08 |
삼성디스플레이 30K 수준 대규모 라인 증설 (1)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