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슈

석경에이티 회사 분석, 상장 정보 및 투자 유의사항 총정리

by INFO_MAKER 2020. 12. 22.
SMALL

나노소재 전문기업 석경에이티가 23일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합니다.

 

석경에이티가 어떤 회사인지, 투자 위험 요소는 무엇인지 그리고 상장 정보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본 글은 투자에 책임을 지지 않는 공익 차원의 글로, 투자자는 기업의 공시 정보를 참고하실 바랍니다."

 

 

 


<석경에이티 회사 정보>

본점 소재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 24(목내동, 반월공단 6블럭 14롯트)

전화번호: 031-493-0955

홈페이지는 http://www.sukgyung.com

 


본격적으로 회사의 정보를 파악하기 전에 우선 IPO 결과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성공적 IPO 공모 활동으로 100억원 공모자금 유치 성공"

 

석경에이티의 총 공모주식수는 백만주입니다. 공모가 밴드는 8,000 ~ 10,000원이었고,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 10,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에따라 석경에이티가 코스닥 상장으로 유입할 수 있는 공모자금은 100억원입니다. 이중 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은 97억이 되겠습니다. 해당 공모자금은 향후 시설자금에 약 30억, 운영자금(신규인력 채용)에 11억원, 채무상환에 30억원, 기타에 29억원을 사용할 예정이이라고 합니다.

 

자료: 석경에이티

 

"기관경쟁률, 청약경쟁률 모두 흥행은 했지만.."

 

경쟁률을 살펴보면 기관투자자들이 진행하는 수요예측 기관경쟁률에서 1390.29:1를 기록했습니다. 이중 6.68%가 의무보호확약을 걸었고,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청약 또한 1751.58:1 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전체 발행 주식수와 공모주식수가 적은 점을 감안한다면 경쟁률이 높은 이유가 100% 회사의 경쟁력 뿐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이 상장하는 지놈앤컴퍼니와 비교해보면, 석경에이티의 총 발행주식수는 지놈앤컴퍼니의 유통가능물량 정도 밖에 되지 않으니, 석경에이티가 얼마자 작은 규모인지 느끼실 수 있을 있을겁니다. 석경에이티의 상장 예정 시가총액은 546억원이고, 유통가능주식은 3,194,077주(58%)로 약 32억원 정도입니다. 상장 후 급등의 가능성은 있지만, 반대로 주가가 움직이는 경우 주가변동의 소재가 많지 않은 기업이기 때문에 빠져나오기 힘들 것이라 예상합니다.

 

< 석경에이티 상장 정보 >
▲ 공모가: 10,000원(8,000 ~ 10,000원)
▲ 공모주식수: 1,000,000주(신주 100%) 
▲ 액면가: 500원
▲ 수요예측경쟁률: 1390.29:1
▲ 의무보유 확약: 6.68%
▲ 청약경쟁률: 1751.58:1
▲ 상장주식수: 5,455,000주
▲ 시가총액: 546억원
▲ 유통가능주식: 3,194,077주(58%)

 

 

"나노기반 소재기업 석경에이티, 기술력은 OK, 성장성은 의문"

 

석경에이티의 회사소개를 들어보겠습니다.

 

"당사는 소재분야 중에서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전기ㆍ전자산업, 코팅산업, 기타 산업에 관련된 기능성 나노소재를 개발ㆍ제조하고 있으며, 기존 기간산업 제품에 신기능을 부가하여 신제품 개발에 활력을 불어넣음과 동시에 소재 국산화를 통한 국내 제조업체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장기간 사용되어 오던 기존 소재의 약점을 파악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의 나노소재를 공급하여 고객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켜 왔으며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나노소재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나노소재에 관한 원천기술이 필요합니다. 당사에서는 지난 25년에 걸쳐 다양한 나노소재를 취급해오면서 각각의 나노소재에 대한 상이점 등을 철저히 연구하여 각 나노소재에 타당한 합성기술, 분산기술, 표면처리기술, 산화물 및 불화물 제품의 원료에 대한 정제기술 등의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확보된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소재를 제품화하여 세계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

 

석경에이티는 위에 말에서처럼 나노소재를 기반으로한 제품을 생산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여기서 나노소재란 초미립자를 말하는데, 이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생산하는 것이 석경에이티의 기술력으로 보입니다. 석경에이티 홈페이지에서 고객 맞춤형, 고객의 요구에 귀를 기울인다 등 적극적인 어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석경에이티 홈페이지
자료: 석경에이티

 

"꾸준한 매출은 발생하지만, 매출 규모 키울 수 있나?"

 

석경에이티는 꾸준한 매출을 발생시키는 기업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흑자를 지속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다만 그 규모는 크지 않다는게 한계점으로 보입니다. 매출액은 2017년도 60억, 2018년도 55억, 2019년도 64억을 기록하고 2020년 3분기까지 누적 47억을 기록했습니다. 해당 추이에서도 알 수 있듯이 50~60억 규모의 매출을 하고 있는데, 이런 추세는 상장한다고 해서 갑자기 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매출 규모를 성장시킬 수 있냐가 의문점입니다. 2020년도 3분기까지 47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봐서는 온기도 50~60억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겠네요. 다만 영업이익률을 높습니다. 작은 매출규모지만 약 40~50%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어 돈을 잘 벌고 있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또 다시 다만 순이익률은 3%대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회사는 50~60억 대의 매출을 하고, 이중 30~40억을 남기며, 이 남긴 돈을 판매비와 관리비로 대부분 소진하여 남는 돈은 크게 없는 회사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사 자료에는 2020년도는 아주 높에 설정해놨지만, 이는 단순 숫자를 가리기 위한 조치일 뿐 실제 매출과는 전혀 상관이 없어보입니다.

 

 

자료: 석경에이티

 

자료: 석경에이티

 

"핵심투자위험에 대한 충분한 인지와 확인 후 투자 필요"

 

석경에이티는 나노 관련 기술력을 바탕으로 꾸준한 매출을 지속하는 기업이지만, 향후 성장성과 주식 시장에서의 이슈 발생 가능성은 낮을 수 있으니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석경에이티 상장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과 석경에이티에서 뽑은 투자의 위험성입니다. 추가적인 내용은 석경에이티 투자설명서를 참고해주세요.

 

석경에이티 투자설명서 링크

 

 

"매출처 편중에 따른 위험"

2019년 당사의 매출액 상위 10개 업체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3.63%로 특정 매출처에 대한 편중은 높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만, 2019년 당사 매출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매출처는 글로벌 치과 관련 제품 제조 기업인 Ivoclar Vivadent사로 16.4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헬스케어, 화학, 전기전자, 반도체,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구성되어 있어 특정 기업 또는 특정 산업 군의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주요 매출처인 Ivoclar Vivadent의 경우 코로나19에 대한 영향력이 제한적이었던 반면 다른 매출처의 매출이 소폭 감소하면서 2020년 3분기 기준 Ivoclar Vivadent 향 매출 비중은 24.11%로 증가하였습니다. 향후 외부 요인으로 신규 사업 진출 등 매출처 다각화 계획이 지연되거나 또는 당사와 주요 매출처의 관계 악화로 영업활동을 못하게 될 경우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쟁 심화에 따른 위험"

당사가 영위하는 소재 시장은 매우 높은 기술력과 우수한 품질이 요구됨에 따라 매출처에서 제품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 오랜 검증 기간을 필요로 하는 등 진입장벽이 매우 높아 소수의 경쟁사만 존재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무기물을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나노소재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소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높은 진입장벽에도 불구하고 전방시장의 변화 및 기술의 발전 등으로 소재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규 업체들의 시장 진입하거나 기존 경쟁 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경우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당사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거나 시장 지위가 축소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술경쟁력 확보 위험" 

당사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무기물을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나노소재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나노소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축적된 경험, Know-How를 바탕으로 경쟁사 대비 우수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와 상표, 지적재산권 등록 및 출원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에도 지적재산권 관련 분쟁이나 소송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쟁이나 소송 등으로 당사가 특허 등을 통해 구축해놓은 기술경쟁력이 약화되거나, 기술 및 제품에 대한 기술개발 요구에 당사가 빠르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당사 제품의 차별점 약화 및 당사 제품의 수요 감소로 당사의 성장성이 저하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납기 준수 및 매출처 요구사양 충족 실패 위험"

납기 준수, 매출처 요구사양 충족 등은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소재 관련 시장의 주요한 경쟁요소 입니다. 당사는 현재까지 주요 매출처가 요구하는 납기 및 요구사양 충족을 통해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오고 있으나, 향후 납기 준수 및 매출처 요구사항 충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적 하락 및 수익성 악화 위험"

당사가 현재 주로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이 포함된 전방 시장은 성숙기 접어든 시장으로 예상 시장 성장률은 높지 않습니다. 다만 당사의 주요 제품인 치과용 및 화장품용 소재의 경우 소재가 변경될 때 마다 별도의 FDA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매출 시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토너 시장 자체는 감소하지만 동사가 제공하는 토너 외첨제 시장은 오히려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전방 시장의 성장성이 둔화된다 할 지라도 동사의 매출이 제한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장의 성장세가 동사가 예상한 것 보다 더 둔화되거나 산업이 사장될 경우 동사의 영업실적 및 재무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생산능력 확장을 위한 신규투자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로 100억원 수준의 공모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 중 약 30억원을 시설투자를 위해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제품군의 매출 증대 및 신규 성장동력 제품군의 매출 실현을 위하여 기존 제1공장(안산), 제2공장(영암)에 생산설비 및 연구/분석장비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계획이 지연되거나 신규 설비 투자 투자의 증가가 수익 확대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인력이탈 위험" 

당사의 임직원 수는 총 51명이며, 인력은 경영진 6명, 연구소 12명, 제조그룹 21명, 사무 6명, 영업 2명, 품질관리 4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충분한 수준의 제품 연구개발 및 생산 역량을 모두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성공적인 사업 영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지닌 경영진 및 연구개발자들의 확보가 필수적이므로, 핵심인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장기 근속을 위한 동기 부여가 매우 중요합니다. 당사는 복리후생 제도 확립, 기술 개발 보상 제도 등 임직원의 장기 근속 동기 부여를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력의 이탈 위험을 배제할 수 없으며 동사 핵심인력의 이탈 시 동사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프리시젼바이오 상정 및 기업분석 내용 바로가기